피라스 알부라이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라스 알부라이칸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한다. 2017년 알 나스르에서 프로 데뷔 후, 알 파테, 알 아흘리를 거쳤다. U-20, U-23 대표팀을 거쳐 성인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승리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마제드 압둘라
마제드 압둘라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전 축구 선수로, 알 나스르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역대 최다 득점자이고,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AFC 아시안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은퇴 후 알 나스르 감독을 역임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사우드 압둘하미드
사우드 압둘하미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로, 알 이티하드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해 알 힐랄을 거쳐 현재 AS 로마에서 수비수로 뛰며,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대표팀으로 202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 알파테 SC의 축구 선수 - 알리 알불라이히
알리 알불라이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로, 알힐랄에서 수비수로 뛰며 2018년 FIFA 월드컵을 통해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여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전 승리에 기여했고,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손흥민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행위로 논란이 되었으며, 알힐랄 소속으로 다수의 우승을 경험했다. - 알파테 SC의 축구 선수 - 루이스 레알
포르투갈 출신 축구 선수 루이스 레알은 공격수로 활약하며 스포르팅 CP 유소년팀을 거쳐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고, 상투메 프린시페 국가대표로도 A매치 29경기 11골을 기록했다. - 사우디아라비아 남자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모하메드 칸노
모하메드 칸노는 알 힐랄 소속의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선수로,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우승 3회,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등 다수의 우승 경력이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대표팀으로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A매치 58경기 4골을 기록 중이다. - 사우디아라비아 남자 청소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야흐야 알셰흐리
야흐야 알셰흐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축구 선수로, 알 리야드 SC에서 뛰고 있으며 알 이티파크와 알 나스르를 거치며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우승 3회 등을 기록했고,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대표팀으로 75경기 8골을 기록, 2018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피라스 알부라이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전체 이름 | 피라스 타리크 나세르 알부라이칸 |
출생일 | 2000년 5월 14일 |
출생지 |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키 | 1.81m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현재 소속팀 | 알아흘리 |
등번호 | 9 |
유소년 경력 | |
유소년 연도 | 2011–2017 |
유소년 클럽 | 알나스르 |
클럽 경력 | |
연도1 | 2017–2021 |
클럽1 | 알나스르 |
출전1 | 28 |
골1 | 4 |
연도2 | 2021–2023 |
클럽2 | 알파테 |
출전2 | 62 |
골2 | 32 |
연도3 | 2023– |
클럽3 | 알아흘리 |
출전3 | 39 |
골3 | 15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 연도1 | 2017–2019 |
국가대표팀1 | 사우디아라비아 U20 |
국가대표 출전1 | 20 |
국가대표 골1 | 14 |
국가대표 연도2 | 2019–2022 |
국가대표팀2 | 사우디아라비아 U23 |
국가대표 출전2 | 9 |
국가대표 골2 | 3 |
국가대표 연도3 | 2019– |
국가대표팀3 | 사우디아라비아 |
국가대표 출전3 | 47 |
국가대표 골3 | 9 |
메달 | |
메달 틀 | 남자 축구 |
대회 | AFC U-23 아시안컵 |
메달 | 2022 우즈베키스탄 (우승) |
대회 | AFC U-19 챔피언십 |
메달 | 2020 태국 (준우승) |
대회 | AFC U-23 챔피언십 |
메달 | 2018 인도네시아 (우승) |
2. 클럽 경력
알나스르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알 파테를 거쳐 알 아흘리로 이적하였다.
2. 1. 알 나스르
2017년, 알나스르 FC에서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하부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득점왕으로 활약하며, 1군 팀으로 승격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12]대회 | 결과 |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우승 (2018-19)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준우승 (2019-20)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3위 (2017-18)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컵 | 준우승 (2019-20) |
사우디아라비아 슈퍼컵 | 우승 (2019, 2020) |
2. 2. 알 파테
2021년 7월 8일, 알부라이칸은 4년 계약으로 알 파테에 합류했다.[5] 알 파테에서의 첫 시즌에 28경기에 출전하여 11골 4도움을 기록하며 팀 내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두 번째 시즌에도 모든 대회를 통틀어 18골을 기록하며 팀 내 최다 득점자 자리를 지켰다. 2023년 6월 3일, 알부라이칸은 2027-28 시즌 종료까지 알 파테와 재계약을 맺었다.[6]2. 3. 알 아흘리
2023년 9월 3일, 알 부라이칸은 알 아흘리로 4000만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약 15.7억원)에 5년 계약으로 이적했다.[13]3. 국가대표 경력
알부라이칸은 2019년 싱가포르와의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AFC 2차 예선 경기에서 성인 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었다. 제24회 아라비안 걸프컵에서 쿠웨이트를 상대로 국제 경기 첫 골을 기록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1-3으로 패했다. 이후 3차 예선에서 세 골을 넣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2-1 승리에 기여했고,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폴란드와 멕시코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 1. 청소년 대표팀
알부라이칸은 2018년 AFC U-19 챔피언십에서 사우디아라비아 U-20 대표팀 소속으로 처음 출전하여 호주와의 경기에서 1골을 기록하며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다.[1] 이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2019년 FIFA U-20 월드컵 대표팀에 발탁되었고, 말리와 파나마를 상대로 2골을 넣었다.[1]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조별 리그에서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그는 2020년 AFC U-23 챔피언십과 2022년 AFC U-23 아시안컵에서 U-23 대표팀 소속으로 활약하며, 두 대회 모두 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특히 2022년 대회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1] 2020년 대회의 활약으로 2020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에 발탁되었으나, 팀은 조별 리그에서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
3. 2. 성인 대표팀
알부라이칸은 2019년 싱가포르와의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AFC 2차 예선에서 성인 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었다.[15] 그는 제24회 아라비안 걸프컵에서 쿠웨이트를 상대로 국제 경기 첫 골을 기록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1-3으로 패했다.[15] 이후 3차 예선에서 세 골을 넣으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15]그는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사우디아라비아가 2-1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이 경기는 월드컵 역사상 가장 큰 이변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폴란드와 멕시코에 패하며 조별 리그 최하위로 탈락했다.
2022년 1월 27일 기준 알부라이칸의 성인 대표팀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15]
번호 | 개최 연월일 | 경기장 | 상대 국가 | 득점 | 결과 | 대회 |
---|---|---|---|---|---|---|
1 | 2019년 11월 27일 |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الكويت|쿠웨이트ar | 1 | 1-3 | 제24회 걸프컵 |
2 | 2019년 12월 2일 |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عمان|오만ar | 3 | 3-1 | 제24회 걸프컵 |
3 | 2020년 11월 14일 | 프린스 파이잘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Jamaica|자메이카영어 | 3 | 3-0 | 친선 경기 |
4 | 2021년 10월 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日本|일본일본어 | 1 | 1-0 | 2022 FIFA 월드컵 예선 |
5 | 2021년 10월 12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中国|중국중국어 | 3 | 3-2 | 2022 FIFA 월드컵 예선 |
6 | 2022년 1월 2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عمان|오만ar | 1 | 1-0 | 2022 FIFA 월드컵 예선 |
4. 경력 통계
2024년 5월 27일에 치러진 경기까지의 통계이다.[1]
클럽 | 시즌 | 리그 | 킹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알 나스르 | 2017-18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1 | 1 | 1 | 0 | — | — | 2 | 1 | ||
2018-19 | 4 | 0 | 2 | 0 | 5 | 0 | 1[1] | 0 | 12 | 0 | ||
2019-20 | 9 | 1 | 1 | 0 | 8 | 0 | 0 | 0 | 18 | 1 | ||
2020-21 | 14 | 2 | 1 | 0 | 0 | 0 | 0 | 0 | 15 | 2 | ||
합계 | 28 | 4 | 5 | 0 | 13 | 0 | 1 | 0 | 47 | 4 | ||
알 파테 | 2021-22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7 | 11 | 1 | 0 | — | — | 28 | 11 | ||
2022-23 | 30 | 17 | 2 | 1 | — | — | 32 | 18 | ||||
2023-24 | 5 | 4 | 0 | 0 | — | — | 5 | 4 | ||||
합계 | 62 | 32 | 3 | 1 | 0 | 0 | 0 | 0 | 65 | 33 | ||
알 아흘리 | 2023-24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7 | 13 | 2 | 2 | — | — | 29 | 15 | ||
선수 통산 | 117 | 49 | 10 | 3 | 13 | 0 | 1 | 0 | 141 | 52 |
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19년 11월 27일 |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 도하, 카타르 | 쿠웨이트 | 1–3 | 1–3 | 제24회 걸프컵 |
2 | 2019년 12월 2일 |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 도하, 카타르 | 오만 | 1–0 | 3–1 | 제24회 걸프컵 |
3 | 2020년 11월 14일 |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자메이카 | 3–0 | 3–0 | 친선 경기 |
4 | 2021년 10월 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일본 | 1–0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5 | 2021년 10월 12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중국 | 3–1 | 3–2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6 | 2022년 1월 2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오만 | 1–0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7 | 2024년 3월 26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 1–0 | 1–1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8 | 2024년 6월 6일 |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파키스탄 | 1–0 | 3–0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9 | 2024년 6월 6일 |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파키스탄 | 2–0 | 3–0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4. 1. 클럽
클럽 | 시즌 | 리그 | 킹 컵 | 대륙 | 기타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출장 | 골 | ||
알 나스르 | 2017-18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1 | 1 | 1 | 0 | — | — | 2 | 1 | ||
2018-19 | 4 | 0 | 2 | 0 | 5 | 0 | 1[1] | 0 | 12 | 0 | ||
2019-20 | 9 | 1 | 1 | 0 | 8 | 0 | 0 | 0 | 18 | 1 | ||
2020-21 | 14 | 2 | 1 | 0 | 0 | 0 | 0 | 0 | 15 | 2 | ||
합계 | 28 | 4 | 5 | 0 | 13 | 0 | 1 | 0 | 47 | 4 | ||
알 파테 | 2021-22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7 | 11 | 1 | 0 | — | — | 28 | 11 | ||
2022-23 | 30 | 17 | 2 | 1 | — | — | 32 | 18 | ||||
2023-24 | 5 | 4 | 0 | 0 | — | — | 5 | 4 | ||||
합계 | 62 | 32 | 3 | 1 | 0 | 0 | 0 | 0 | 65 | 33 | ||
알 아흘리 | 2023-24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27 | 13 | 2 | 2 | — | — | 29 | 15 | ||
선수 통산 | 141 | 52 | 10 | 3 | 13 | 0 | 1 | 0 | 165 | 55 |
4. 2. 국가대표
فراس طارق البريكان|피라스 타리끄 알부라이칸ar은 2024년 6월 6일 기준, A매치 36경기에서 9골을 기록하고 있다.[8]번호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19년 11월 27일 |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 도하, 카타르 | 쿠웨이트한국어 | 1–3 | 1–3 | 제24회 걸프컵 |
2 | 2019년 12월 2일 | 압둘라 빈 칼리파 경기장, 도하, 카타르 | 오만한국어 | 1–0 | 3–1 | 제24회 걸프컵 |
3 | 2020년 11월 14일 | 프린스 파이살 빈 파흐드 스타디움,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자메이카한국어 | 3–0 | 3–0 | 친선 경기 |
4 | 2021년 10월 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일본한국어 | 1–0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5 | 2021년 10월 12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중국한국어 | 3–1 | 3–2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6 | 2022년 1월 27일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오만한국어 | 1–0 | 1–0 |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
7 | 2024년 3월 26일 | 파미르 스타디움, 두샨베,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한국어 | 1–0 | 1–1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8 | 2024년 6월 6일 |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파키스탄한국어 | 1–0 | 3–0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9 | 2024년 6월 6일 | 진나 스포츠 스타디움, 이슬라마바드, 파키스탄 | 파키스탄한국어 | 2–0 | 3–0 |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 |
5. 수상 내역
클럽 | ||
---|---|---|
구단 | 대회 | 기록 |
알나스르 FC | 사우디 프로페셔널리그 | 우승 (2018-19)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컵 | ||
사우디아라비아 슈퍼컵 | 우승 (2019, 2020) |
국가대표팀 | |
---|---|
구단 | 대회 |
사우디아라비아 U-20 | AFC U-20 아시안컵 우승 (2018) |
사우디아라비아 U-23 | AFC U-23 아시안컵 우승 (2022) |
사우디아라비아 | 아라비안 걸프컵 |
개인 | |
---|---|
사우디 프로 리그 이달의 영 플레이어 | 2022년 2월, 2022년 10월, 2023년 4월, 2023년 5월 |
5. 1. 클럽
준우승 (2019-20)3위 (2017-18)